우리나라의 장마는 6.20~7.20일에 걸쳐서 1개월간 계속됩니다.
그러나 올해의 장마는 6월18일에 시작되어 마른장마가 계속되더니
중북부지방에는 집중호우가 내려 산사태가 나는등 피해가 속출하고
남부지방은 마른장마가 계속되어 가뭄에 약한 밭작물은 가뭄피해가 나타나고 있읍니다.
마른장마가 계속되는 남부지방에는 인공화분떡 소모도 미약합니다.
장마가 끝나고 벼꽃이 피는 8월15일까지는 불볕더위와 함께 산야에는 이렇다할 밀원이 없어
봉군관리를 소홀히 하면 내년도 양봉을 망칠 수 있습니다.
1. 덧통월동관리 대책
덧통으로 월동할 계획으로 꿀벌을 기르는 경우에는 내년봄에 힘들이지 않고 강군이 형성되어
벚꽃이 피기전에 벌이 완성되어 벚꽃꿀부터 채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응애방제의 어려움
많은먹이소모,관리의 불편함이 있어 요즈음에는 홑통으로 쪼개서 관리하여 내년봄에 합봉하는 봉우가
증가하고 있읍니다.
가.충분한 먹이주기
덧통월동할 봉군은 7월말까지 먹이소비는 2매정도를 확보하고 8월말까지는 4매
9월말까지는 7~9매정도 확보 하는것을 목적으로 분봉열이 일어나지않게 조심하면서
1주일에 2회(3~4일에 간격으로)씩 먹이를 주는데 1회 공급량은 마른설탕 기준으로
1kg정도를 사양하면 좋겠다.
1주일에 2회 먹이주기는 불편함으로 요즈음 출시한 4리터짜리 광식가양기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나. 격왕판제거
덧통으로 월동하려면 밤꽃이 개화하기전이나 밤꽃이 끝나고나면 격왕판을 제거해야되나
지금까지 격왕판을 제거하지 않았으면 신속히 격왕판을 제거해야 합니다.
가을까지 격왕판을 제거하지않으면 아무리 강군이라도 6매이하의 세력으로 급감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격왕판을 제거하면 여왕벌은 1층과 2층을 자유롭게 오가면서 12매정도에 육아권을
형성하여 초강군으로 월동하게 됩니다.
다. 인공화분의 지속공급
인공화분공급은 최소한 벼꽃이 피는 8월15일까지는 화분부족이 계속되므로 화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넉넉하게 주어야 합니다. 공급량은 1주일에 1kg정도 소모되나 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있읍니다.
경기도나 강원도의 옥수수 집단재배지에서는 화분이 산란권을 압박할정도로 남아돌아 인공화분공급이
필요없는 경우도 있고 요즈음 남부지방과 같이 마른장마가 지속되면 화분떡소모량이 미미하여 공급을
중단하는 봉우들도 있으나 화분떡 공급을 중단하면 산란이 중단됩니다
2. 홑통봉군의 월동준비관리
교미상을 만들어 새롭게 봉군을 형성한 봉군은 지금쯤 3매정도의 세력을 유지하고 있는것이 정상이다.
지금부터 1주일 간격으로 강군에서 봉충판을 적출하여 3회정도 봉충판 증소를 하면 8월20일까지 6매이상
세력이 형성되고 8월20일까지 6매이상세력이 형성되면 월동자격을 갖추게 된다.
3. 여왕벌의 교체
아직까지 구왕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인공왕을 양성하여 신왕으로 교체하는것이 좋습니다.
신왕으로 교체하지 못하고 구왕으로 월동하면 내년봄에 탄력적인 산란을 하지못하여
채밀자격군으로 발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취미나 부업으로 양봉을 하는 봉우는 금요일에 이충하면 다음주 월요일~화요일에 처녀왕이 출방하므로
토요일.일요일에 교미상을 만들어 왕대를 붙여주면 다음주 월요일~화요일쯤에 교미를하고 처녀왕이 출방하고
12~14일쯤(2주째 일요일 확인)에 산란을 하므로 관리가 편리하다.
* 흑색여왕벌을 보내주신 흑색벌동호회의 대벌님께 감사드립니다.
1마리 보내주신 여왕벌이 벌써 14마리가 되었습니다. 20여마리는 결혼비행 준비중입니다
거듭 감사인사 올립니다.
4. 병충해방제
가. 응애방제
7월에 응애방제를 시작했으면 1주일간격으로 4회연속 방제를 해야 합니다.
아직 4회 연속방제가 이루어지지않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응애방제를 합니다.
특히 덧통관리의 경우에는 응애방제가 소홀한 경우에 일시에 응애피해가 발생하여
봉군이 망실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나. 부저병방제
여름철 무더위가 계속되고 먹이가 부족하며 응애피해가 발생할 경우에는 봉군세력이
급격히 약화되면서 부저병이 발생합니다.
부저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봉군을 강하게 관리하고 예방을 위해서는 동물용
옥시마이신을 사양액에 섞어서 처리하거나 설탕가루와 섞어서 벌집사에에 직접 뿌립니다.
부저병이 심한 봉군은 그대로 두면 전체 봉군으로 감염되므로 아깝더라도 불에 태워 없애는것이 좋습니다.
다. 두꺼비 피해예방
두꺼비는 평소에는 벌통밑에 납작 엎드려 숨어 있다가 석양이 되면 벌통앞으로 나와
소문앞에서 벌들이 나오는데로 집어 삼키기 때문에 피해가 크므로 두꺼비를 발견하면
바로 제거해야 합니다.
라. 거미피해 예방
거미는 벌통주변에 거미줄을 쳐놓고 오고가는 일벌을 잡아먹는 피해를 주며 특히 교미상
설치시 여왕벌의 교미성공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을 제공하므로 거미줄을 제거하고 거미를
잡아 제거해야 합니다.
안경강의 꿀벌은 전남영광에 있습니다.
지역과 사람에 따라서 봉군관리방법이 다를수 있습니다.
'우리 양봉,토봉, 꿀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봉이 튼튼하게 메실엑기스와 오가피잎을 발효하여 먹이주려고,,,,,, (0) | 2013.07.22 |
---|---|
[스크랩] 왕 생산 과정 (0) | 2013.07.22 |
[스크랩] 안경강의 금주의 꿀벌관리(7.14~7.20) (0) | 2013.07.10 |
[스크랩] 안경강의 금주의 꿀벌관리(7.7~7.13) (0) | 2013.07.08 |
밤꿀채밀작업,,,,꿀소비가 이정도는되어야,,,,,, (0) | 2013.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