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양봉,토봉, 꿀벌

[스크랩] 안경강의 금주의 꿀벌관리(7.7~7.13)

dogamk 2013. 7. 8. 06:30

일찍 파종한 참깨꽃이 한두송이씩 피어 오르고

산에서는 자귀나무꽃,모감주꽃이 피어납니다.

또한 늦게 시작한 장마로 비오는 날이 많은 요즈음

산야에는 꿀벌들이 먹이로 삼을만한 밀원은 형성되지 않아

이번주도 지난주에 이어 무밀기로 먹이를 공급하지 않을경우

무더위와 배고픔으로 벌들이 고통을 받을것입니다.

1. 먹이공급

이번주도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꿀벌들은 산야에서 먹을거리를 찾지못합니다.

덧통으로 그대로 관리하는 봉군은 1주일에 2kg정도의 먹이를 공급하여 먹이장을

1매정도 만드는것이 좋습니다.

홑통으로 관리하는 봉군은 1주일에 1kg정도의 먹이를 공급하면 충분합니다.

2. 덧통봉군의 분할

덧통으로 월동할 봉군은 그대로 덧통으로 관리하면서 먹이를 충분히 주면 되겠으나

홑통으로 월동할 봉군은 봉군세력을 2/1로 나누어 그동안 준비해 두었던 신왕을 유입합니다.

덧통으로 월동할 목적으로 덧통관리를 하면 내검,병충해방제에 불편한점이 많으나 홑통으로 관리하면

편리한점이 많습니다. 덧통을 홑통으로 관리할려면 이번주간에 분봉시켜 나누는것이 좋습니다.

3. 약군(교미상)의 세력보충

신왕을 양성하기 위하여 교미상을 만들어 성공한 봉군을 월동자격군으로 만들기위해서는

세력보충이 필요합니다.

내검시(1주일간격)마다 강군의 봉개봉충판을 1매씩 적출하여 약군에 증소합니다.

2매기준벌이면 봉개봉충판 증소를 3번정도 실시하면 월동자격군이 됩니다.

4. 인공화분공급

밤꽃개화시에 화분이 3~4매 밀렸던 강군도 내검해보면 화분이 모두 소진되고 산란을 멈추는 시기입니다.

지난주에 인공화분을 1kg정도 넣어 주었던 봉군은 인공화분을 가져다 새끼를 기르고 산란도 멈추지 않았습니다.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이번주에도 인공화분을 1군당 1kg정도 넣어 줍니다.

5. 덧통봉군의 격왕판 제거

덧통으로 월동할 계획으로 관리하는 봉군은 지난주에 격왕판을 제거하지 않았으면 반드시 격왕판을 제거합니다.

격왕판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가을까지 관리하면 여왕벌은 1층에 산란만 하고 일벌은 2층에 올라가지않아

봉군의 세력은 1층벌로 축소됩니다.

6. 물공급

자동사양기.소문사양기로 깨끗한 물을 공급합니다.

위의 사양기가 없는 경우에는 봉장의 가장자리에 급수장을 만들어 일벌들이

농약을 살포한 논에 나가서 물을 길러오는것을 방지합니다.

7. 프로폴리스 채취망 설치

무더운 여름철의 더위도 식힐겸 프로폴리스 채취망을 개포대신 사용합니다.

무더위가 심할수록 우리 봉이들은 프로폴리스를 더욱더 많이 모아 줍니다.

8. 여왕벌양성

이번주간도 여왕벌 양성은 쉬어가는것이 좋습니다.

무더위와 도봉으로 여왕벌 양성 및 교미성공율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이번주간까지는 여왕벌 양성작업은 하지않는것이 좋습니다.

9. 도봉방지

한낮의 내검은 도봉을 불러들이는 구실을 마련하므로 아침일찍 또는 벌들의 활동이

멈추는 석양에 하는것이 좋습니다.

봉군의 내검시간도 될수 있는데로 최대한 빨리 끝내는 것이 좋습니다.

먹이도 해가 지고나서 먹이를 주고 밤사이에 모두 가져갈 수 있는 적당량만 공급합니다.

10. 병충해 방제

가. 응애 방제

지난주부터 응애방제를 시작했으면 이번주에도 응애방제를 합니다.

봄철 응애방제를 철저히 하지않은 봉장에서는 벌써 기는벌이 나오는 피해가 나타 납니다.

응애방제는 1주일 간격으로 연속4번 실시해야 응애의 밀도를 줄여 방제를 할 수 있습니다.

나. 부저병 방제

먹이부족에 시달리거나 오염된 물을 가져다 새기를 기르거나 할 경우에 약군으로 전락하여

부저병이 나타납니다. 부저병의 예방을 위하여 먹이공급시에 사양액에 옥시마이신을 소량씩

희석하여 사용합니다.

부저병이 발생한 봉군은 마른설탕에 울트라마이신을 섞어 벌집(소비)사에에 골고루 뿌려 줍니다.

안경강의 꿀벌은 전남 영광에 있습니다.

지역과 사람에 따라서 관리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 꿀벌사랑동호회
글쓴이 : 안경 강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