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양봉,토봉, 꿀벌

[스크랩] 안경강의 금주의 꿀벌관리(7.14~7.20)

dogamk 2013. 7. 10. 17:57

계속된 장마비로 봉이들이 바깥출입도 못하여 먹이도 절량되고

화분도 절량되어 산란이 중단된 봉군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에는

어린유층을 파내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1. 인공화분 공급

    지난주에 1kg씩 공급한 인공화분이 모두 바닥나고 화분부족 상태가

    계속됩니다. 이번주간에도 인공화분을  1군/1kg정도를 계속 공급합니다.

    인공화분이 준비되지 않았으면 봉장의 가장자리 빈벌통에 보릿겨를

    넣어두면 분봉난 벌통처럼 부지런히 보릿겨를 가져갑니다.

    2층을 유지하고 있는 계상군은 한번에 2kg을 주는것도 편리합니다.

 

2. 먹이공급

    먹이공급은 부족하지 않도록 조절해서 잘 주어야 합니다.

    너무많이 주면 분봉열이 발생하여 봉군이 도망가는 일이 발생하고

    너무적게주면 역봉이 사라지고 산란을 중단하여 봉군이 망실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8매벌 기준으로 1주일에 1군/1kg정도 공급하고 덧통관리군은 1군2kg정도를

    설탕15kg/물20리터로 희석하여 공급합니다.

 

3. 물공급

    자동사양기를 설치한 봉장에서는 먹이를 주지않는날은 맑은물을 먹이대신 물을 공급합니다.

    자동사양기가 설치되지않은 봉장에서는 소문사양기를 벌통문앞에 설치하여 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물을 공급합니다.

    자동사양기도 없고 소문사양기도 없는 경우에는 봉장의 가장자리에 급수장을 만들어 주어

    오염된 물을 가져다 새끼를 길러 봉군이 망실되는 경우를 예방해야 합니다.

    

     급수장은 정수기 물통에 물을 가득담고 넓은 쟁반에 모래를 채우고

     정수기 물통을 거꾸로 하여 고정시키면 축축한 모래에 벌들이 하루종일

     래왕하며 물을 길러 갑니다.

 

4. 여왕벌 양성

   그동안 중단했던 여왕벌 양성을 다시 시작합니다.

   들판에 참깨꽃이 피어나자 벌들이 다시 온순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번주중에 인공이충을 하면 다음주에 처녀여왕벌이 출방하고 8월초에

   교미에 성공하며 8월하순이면 여왕벌을 교체할 수 있습니다. 

 

5. 응애구제

   응애구제는 빨리 시작한 봉우들은 1주일간격으로 2번처리 했을 것입니다.

   이번주간에도 3차처리를 할 시기입니다.

   응애방제는 1주일 간격으로 연속4주처리를 해야 구제가 됩니다.

  

6. 부저병 방제

    장마와 함께 눅눅한 날씨가 계속되고 먹이와 화분이 부족하면 봉군의 세력이

    약화되다보면 부저병이 찾아옵니다.

    먹이와 화분이 부족하지않게 관리하고 부저병이 발생한 봉군은 울투라마이신

    또는 옥시마이신을 먹이에 희석하여 공급하거나 마른설탕에 골고루 섞어

    내검할때 소비 사이에 뿌려줍니다.

    부저병이 발생한 소비(벌집)는 빼내서 불에태워 없애버리는 것이 가장 쉬운

    방제방법입니다.

 

7. 덧통월동군의 관리

    덧통으로 월동할 계획으로 관리하는 봉군은 1층에 6매,2층에 6매로 관리하며

    봉군의 세력이 만상이 되지않도록 관리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벌을 가득체워 관리하면 더위에도 노출되고 분봉열이 발생하여 도망가는 사례가 발생합니다.

   세력이 너무 좋은벌은 봉충판을 적당히 빼내 약군에 지원해주면서 관리하는것이 좋습니다.

   먹이는 1주일에 설탕기준으로는 2kg정도 소모되고, 한번에 많은량을 주기보다는 3일간격으로

   2번 나누어 주는것이 좋습니다.

  주말에만 시간이 있는 부업양봉가는 광식사양기를  2층에 2개를 삽입하고 2개의 광식사양기에

  가득 설탕물을 부어 줍니다.  

  요즈음에는 4리터가 들어가는 광식사양기도 있고 10리터가 들어가는 수평사양기도 있는데

  일손이 부족한 부업양봉가들이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안경 강의  봉군은 전남 영광에 있습니다.

지역과 사람에 따라 봉군관리 방법이 다를수도 있습니다

-꿀벌의 편지-

출처 : 꿀벌사랑동호회
글쓴이 : 안경 강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