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비용으로 최대의 꿀을 생산하기 위하여|꿀벌일지
//
어제는 전형적인 화창한 봄날씨로 하루종일 봉지사양과 2-3차 화분떡 급이로 분주한 시간을 보냈습니다.
산란. 육아에 탄력이 붙으면서 떡의 소모도 대단했고 일부 통은 15일만에 이미 완전 소진돼서 이번엔 두덩이씩 올려줬습니다.
화분떡을 주면서 진드기 약도 2차 처리를 왕스로 했는데, 이렇게 고생하며 벌을 키우는 목적은 소득(수입)에 있습니다.
간혹, 취미나 부업. 자랑으로 벌을 키우는 분들도 있긴하지만 대부분 먹고 살기위해 전업, 또는 부업으로 양봉을 합니다.
어떻게 하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이윤을 산출할 것인가를 염두에 두고 꿀벌도 관리돼야 하는데, 많은 벌 숫자만이 최선이 아니고 즉, 화분떡/ 설탕만 축내다 죽는 벌을 최소화 해야합니다.
" 1등 양봉인은 꿀 수확과 소득을 자랑하고, 2등 양봉인은 벌을 자랑한다 " 고 하는데, 물론 벌=꿀 생산량과 비례는 하지만 반드시 그렇지 많은 않은 것 같습니다.
이른 봄 여왕벌의 산란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무조건 봉량만 많으면 그에 정비례 해서 산란이 진행될 것 같지만 수년간 관찰해 본 결과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벌을 처음 접하던 초심자 시절(3-4년차)에는 계상군 월동, 2단 계상군(3층) 월동도 몇차례 시도해 봤는데 봉량으로 따지면 산란 상태가 단상 착봉 2매군에 비해 10배 정도는 돼야하나 실제도 3월 중순경 봉판상태를 보면 조금 더 나을 뿐입니다.
많은 월동식량과 봄철에 화분떡을 투입한 것에 비하면 꿀벌의 자람은 투자대 효과면에서 미미했습니다. 물론 단상 착봉2매벌 보다는 산란이 많이 진행된 건 사실입니다.
설탕값이 하늘로 치솟고, 수입 화분의 가격이 2배이상 폭등하는 현실에서 경제적인 꿀벌관리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최소의 비용을 투입해서 최대 효과를 거둬야만 먹고살 수 있습니다.
취미로 10여통 미만을 관리하는 분들이야 어차피 다른곳에서 넉넉한 수입이 있기 때문에 계상, 2단계상으로 월동시키면서 무한투자를 해도 되겠지만 벌 키워서 방세주고, 자식 공부시키려면 생각을 달리해야 합니다.
10여년 꿀벌을 키우면서 경험에 의해 체득한 건 아카시아 꿀을 채밀하고 나서 바로 5월중에 벌을 쪼갤때는 계상군을 교미상 5개로 분봉내서 2-3매 군으로 키워나가면 가을까지 6-7매군이 되고,
이 것을 월동사양시 5매군으로 줄이고 사양을 넉넉하게 한 후 월동에 들어갈 때는 4매로 압축하고, 월동후 첫 내검시엔 2매로 다시 축소해서 키우기 시작하면 3월중순부터 증소에 들어갈 수 있고
전기가온 없이도 4월25일 경에는 계상을 올려 무난히 아카시아 꿀을 뜰 수 있는 채밀자격군으로 충분하게 양성할 수 있었습니다.
잡화나 밤꿀을 보고난 계상군은 교미상을 3개 정도만 내야 무난하게 월동군으로 키울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엔 장마.혹서로 꿀벌이 잘 자라지 못하기 때문에 교미상을 강하게 4-5매로 내야만 월동군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때부터가 실질적은 다음해 농사 준비입니다.
늦게 쪼개면서 약하게 교미상을 편성하면 가을철엔 합봉하기만 바쁘고 설령 그 벌로 월동에 들어간들 다음해 채밀군이 되질 못합니다.
아카시아나 밤꿀을 뜨고나서 교미상으로 갈로 놓으면 무더운 여름철에 내검을 해야할 일이 거의(전혀) 없습니다.
주기적인 사양과 장마철에 화분떡만 올려주면 가을까지 꿀벌은 분봉열 없이 무럭무럭 자라서 월동에 들어가기 좋은 벌이 됩니다.
미련스럽게 계상으로 가을까지 유지하면서 그 무더운 날씨에 매주 내검을 하면서 왕대를 제거하는 수고스러움이 필요없습니다. 즉, 수백군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겁니다.
로얄제리를 생산하거나 왕대를 분양하는 농가는 예외일 수 있습니다.
왕대 생산을 위해 늦가을 까지 계상군으로 유지해야 하는데, 엄청난 식량(설탕)과 화분떡의 소모가 만만치 않습니다. 왕대. 처녀 여왕벌 팔아서 모은 돈 전액을 꿀벌에 투입해야 유지 됩니다.
또한 진드기, 가시응애 방제에 큰 어려움이 따릅니다. 봉장 운영은 사명감과 자기희생 없이는 불가능 합니다. 이것이 우리나라에 양봉(개량종) 꿀벌이 들어온지 100년이 넘는 역사임에도 제대로 된 종봉장하나 없는 이유일 겁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양봉은 최소의 투자로 최대의 소득을 올리수 있는 방법으로 키워야 합니다. 일손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면서 많은 봉군을 관리해서 높은 소득을 창출해야 합니다.
처 자식과 먹고 살아야 하잖아요. - 대구 진기종님 글이네요- |
출처 : 명장양봉 연구회
메모 :
중부지방에도 벌들이 화분유입이조금씩되네요,,,오늘 유채화분을 벌들에게 먹이로 선물을,,, (0) |
2014.02.28 |
[스크랩] 안경강의 금주의 꿀벌관리(3.1~3.7) (0) |
2014.02.27 |
우리봉이들 축소 응애약처리 화분떡올려주고 봄벌깨우기 관리못하였든통,, 마지막작업 (2월25일) (0) |
2014.02.26 |
우리봉장의 벌관리 소비축소 응애처리 화분떡 먹이넣어주기,,,2014.2.22일(토요일) (0) |
2014.02.23 |
꿀벌지기 이천농업기술쎈타(오백영)님의 봄벌깨우기 축소 응애약처리 화분떡주기 관리방법을,,, (0) |
2014.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