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지라 할 수있는 광주로 이동하여 아카시아꿀을 평년작 정도 수확하고
3차지라 할 수 있는 영광으로 이동하여 아카시아 만개기(5.22~5.25)에 강한
비바람으로 아카시아꿀 2회와 잡화1회 채밀 기회가 모두 날아가 버려 올해는
개인적으로 흉작에 해당되는 한해이다.
그래도 힘을 내서 내년을 위하여 해야할 일이 많은것 같다.
1. 여왕벌 양성
가. 자연왕대 이용하기
인공왕대를 만들지 못하는 취미양봉 및 부업양봉가는
내검중에 자연왕대를 발견하면 봉충판1매와 먹이소비
1매에 왕대1개를 붙여 교미상을 편성하여 여왕벌을 양성한다.
자연왕대를 얻고자 할때는 강군에 먹이를 많이 주고 소문을 최대한 줄이면
분봉열이 발생하여 자연왕대를 많이 생산할 수 있다
나. 인공왕대 이용하기
자기봉장에서 제일 세력좋고 수밀능력도 좋고 백묵병도 없으며
다른 병충해도 없고 성질이 순한 봉군을 골라 알에서 깨어난지
1~2일째되는 유충판을 꺼내서 인공이충을 실시하여 왕대를 양성한다.
인공이충을 한 날로부터 9일째에 교미상을 편성하고, 10일째에 왕대를
부착하면 11일~12일째에 처녀왕이 태어나고 처녀왕이 태어난지 1주일후에
교미를 하고 교미를 한지 5~7일이면 산란한다.
2. 밤꿀받기
가. 동쪽지방 밤꿀받기
6월5일부터 밤꽃이 피기 시작한 동부지방에서는 암꽃이 피는 6월12일부터
밤꿀이 들어오기 시작한다.
지난주에 밤꿀채밀 체제로 전환(지난주 글 참고)한 봉군은 2층에 밤꿀이 저밀되기
시작한다.
밤꿀채밀 전환작업을 하지못하여 2층에 벌이 많이 올라오지 않은 봉군은 1층의
봉충판을 2~3매정도 빼서 2층으로 올려주어 2층으로 역봉을 유도한다.
봉충판 2~3매를 빼서 2층으로 올리면 분봉열 해소에도 도움이 되고 역봉도 2층으로
따라 올라와 2층에 꿀을 저밀한다.
나. 서쪽지방 묽은당액 소량공급 밤꿀채밀체제 전환
밤꽃이 6월15일경부터 개화하는 서쪽지방은 암꽃이 피는 6월22일부터 밤꿀이 들어오기
시작하므로 이번주간은 무밀기라 하겠다.
잡화꿀까지 채밀하고 먹이가 없는 경우에는 벌이 굶어 역봉이 떨어지므로
적당량의 먹이를 주어 벌들이 굶지 않도록 해준다.
밤꿀채밀체제전환은 1층의 봉충판을 2층으로 올리고 2층의 공소비는 1층으로 내리는 작업으로
이번주간에 해도 늦지않다.
채밀체제 전환작업이 힘든 경우에는 격왕판을 제거하면 여왕벌은 2층으로 올라와 산란을 하고
역봉들은 여왕벌을 따라올라와 저밀을 하므로 1군당 4리터정도의 밤꿀을 채밀할 수 있다.
3. 여왕벌 교체작업
아직까지 구왕으로 남아있는 봉군은 미리양성한 신왕으로 교체한다.
여왕벌을 교체할때는 신왕이 산란을 시작한지 15일이상 되어야 하며
정상적인 산란을 확인한다음 교체한다.
가. 야생양봉 교미판사용
야생양봉 벌통을 사용하는 봉우들께서는 먼저 구왕을 제거하고 벌통에 교미판을 설치하고
덧통을 올려놓은다음 교미판의 작은구멍을 열어놓고 미리양성한 신왕과 봉충소비를
통째로 덧통에 삽입하고 뚜껑을 닫는다. 이때에 소문은 열어두는것이 좋다.
이렇게 합봉작업을 하고 2일이 지나고나서 교미판의 큰구멍을 열어 일벌이 마음대로 드나들 수
있도록하고 조용히 뚜껑을 닫아놓고 5분뒤에 여왕벌과 일벌의 싸움이 없으면 교미판을 제거한다.
나. 모기장합봉법
이 방법은 구왕을 제거한후 벌통위에 모기장을 덮고 덧통을 올려놓은다음
앞의 방법과 같이 신왕을 덧통에 삽입하고 2일후에 모기장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다. 자연왕대 이용하기
내검중에 분봉열 발생으로 자연왕대가 확보된 경우에는 구왕을 제거하고 제일좋은 자연왕대 1개만
남겨두면 여왕벌이 신왕으로 교체된다. 이때에는 1주일후에 반드시 새로발생한 왕대를 모두제거
해야 처녀왕 분봉이 나오지 않으며 신왕교체 실패시에는 즉시 다른왕을 넣어주어야 한다.
4. 세력고르기
교미상을 편성하여 신왕이 교미에 성공하고 정상적인 산란이 확인되면 강군에서
어린벌이 많이 붙은 봉충판을 빼내서 벌집에 붙은 벌은 벌통앞에 털어버리면
어린벌은 벌통속으로 빨려 들어가고 늙은역봉은 날아서 자기벌통으로 들어간다.
봉충소비는 벌통뚜껑을 열고 증소를 하면된다.
이렇게 3~4회 봉충소비 증소를 하고나면 약군도 강군이되어 월동자격군이 된다.
5. 벌집짓기
밤꿀받을 벌집이 모자라는 봉우들은 이번주간에 벌집짓기를 마쳐야 한다.
밤꿀이 들어올때 벌집짓기는 채밀을 포기하는 우매한 짓이므로 벌집짓기
봉군을 선발하여 충분한 벌집을 지어야 한다.
5. 병충해 방제
밤꽃피기전에 응애방제를 하지 않았으면 이번주간에 1회정도 응애방제를 실시하여
응애의 밀도를 줄여주어야 밤꽃이 지고나서 7월에 만성적인 응애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아카시아와 잡화채밀로 벌들이 약화되어 부저병도 창궐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려야 하며
올해는 노제마병 증세가 지금도 계속되어 벌들이 기어나온다는 봉우들이 더러 있다.
예전에 노제마병은 봄가을에 1차레정도만 예방해도 되었는데 이상저온의 영향인듯 싶다.
벌이 기어나오는 봉군은 먼저 응애방제를 하고 노제마 방제와 부저병 방제까지 실시해야 한다.
안경강의 봉군은 전남영광에 있습니다.
지역과 사람에 따라 벌기르는 방법이 다를수 있을 수 있습니다.
안경강의 카페는 꿀벌의 편지(kswbee)입니다.
'우리 양봉,토봉, 꿀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안경강의 금주의 꿀벌관리(6.16~6.22) (0) | 2013.06.13 |
---|---|
꿀벌들이좋아하는 밀원식물및나무들,,,,, (0) | 2013.06.08 |
[스크랩] 실패없는 처녀왕유입 (0) | 2013.06.04 |
[스크랩] 안경강의 금주의 꿀벌관리(6.2~6.8) (0) | 2013.05.30 |
5월24일 채금종총무 채밀 장면및 우리봉장 봉이사진 (0) | 2013.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