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양봉,토봉, 꿀벌

[스크랩] 안경강의 금주의 꿀벌관리(6.2~6.8)

dogamk 2013. 5. 30. 22:35

지난주에는 영광보다 아카시아 개화기간이 1주일정도 빠른

광주로 이동하여 5월25일 아카시아 1차채밀을 하고 5.26일

영광으로 이동했으나 5월27일~5.29일까지 비가와서 일찍 개화한

아카시아는 모두 폐화하고 늦은 아카시아꽃이 조금 붙어있다.

또한 때죽꽃은 만개되어 아카시아와 때죽꿀이 혼합되어 들어오고

있다.

주말인 6월2일경에 아카시아 2차 채밀을 하고  6월9일쯤 잡화꿀

채밀을 기대해 본다.

 

 

 1. 물주기

   잡화꿀 채밀이 끝나고 밤꽃피기를 기다리는 지역에서는 물을 공급해야 합니다.

   더위가 시작되면 벌들은 더위를 식히기 위해서 모내기한 논에서 제초제와 살충제를

   뿌린 농약물을 길러와 새끼 기르는데 사용하게 되어 뜻하지 않은 농약피해를 볼수 있으므로

   자동사양기를 설치하여 40군기준 하루에 물10리터를 급이합니다.

    자동사양기가 없을 경우에는 소문사양기를 벌통앞에 설치하여 물을주고

    소문사양기도 없는 경우에는 봉장의 한쪽구석에 급수장을 만들고 짚을

    띄워주어 익사를 방지합니다,.

 

2. 먹이주기

    잡화꿀 채밀이 끝나고  밤꽃이 피기까지는  10일, 꿀이 분비되기까지는 15일정도 무밀기가

    되므로 잡화꿀을 채밀하고나면  묽은당액을 2차레정도 주면

    벌도 굶지않고 밤꿀에 설탕도 섞이지 않는다.

    밤꽃은 수꽃이 1주일 먼저피고 암꽃이 1주일후에 피는데

   수꽃이 피어날때는 화분만 들어오고 먹이는 들어오지 않는다.

   암꽃이 필때에 꿀이 들어오기 시작하므로 밤꽃이 피기시작하여

   1주일후에야 꿀이 들어오기 때문에 꽃만보고 그대로 두면 벌들은

   굶주리게 되어 역봉이 사라지고 어린벌도 기형벌이 태아나므로 피해를

   당하므로 굶지않고 꿀에 먹이가 섞이지않을정도의 먹이를 공급해야 한다.

 

 

3. 밤꿀채밀을 대비한 관리

   잡화꿀을 채밀하고 밤꽃이 피기를 기다리고 있는 지역(6월15일개화지역)에서는

   1층의 봉충판은 2층으로, 2층의 공소비는 1층으로 내려서 관리하면 새로 태어난

   벌들은 역봉이 되어 밤꿀사냥에 나서고 2층은 공소비로 바뀌어 밤꿀이 저장되며

   1층의 공소비는 여왕벌이 분봉열이 일으키지않고 산란하는일을 계속하게 된다.

   또한 봉군은 세력이 강해야 채밀을 할 수 있으므로 채밀자격군과 무자격군을 구분하여

   채밀자격군에 역봉을 보충해 준다.

   역봉을 보충하는 방법은 어린벌이 많이붙은 봉충소비를 꺼내 채밀자격군앞에

   벌을 털어주거나  벌이붙은 봉충소비를 그대로 넣어 주어도 된다.

   발꿀 채밀이 목적일때는 밤꽃폐화시까지 격왕판을 제거하지않는다.

 

4. 번식군 관리 

   밤꿀채밀을 염두에 두지 않고 내년도 양봉을 위하여 번식을 목적으로 할때는

   잡화꿀 채밀이  끝나고 나면 계상의 경우 격왕판을 제거하여 여왕벌이 1~2층을

   자유로이 오가며 산란하게  만들어 필요한 봉충판과 일벌숫자를 확보하여 밤꽃개화시에

   필요한 만큼 교미군을 편성한다. 

 

5. 여왕벌 양성 및 교체

   올봄 월동성적이 좋지않았거나 사멸한 봉군의 대부분이 구왕으로 월동한 봉군들이다.

   내년양봉을 위해서는 반드시 신왕을 양성하여 여왕벌을 교체하여 내년봄을 대비해야 한다.

   밤꽃개화시에는 5월보다는 못해도 7월보다는 교미성적이 좋으므로 틈나는 대로 인공이충

  을 실시하여 여왕벌을 양성하고 인공왕 확보가 어려우면 자연왕대를 이용하여 여왕벌을 양성한다.

  교미성공율은 봉군의 세력이 약할수록 잘 되므로 봉충판1매와 먹이소비1매로 교미상을 편성하고

  교미상을 편성한지 하루가 지나고 나면 다음날 처녀왕이 출방하는 왕대를 붙여준다.

  교미상은 1군씩 따로두는 것이 교미성적이 좋고 사정상 1렬로 배열할때는 벌통의 입구를 지그제그로

  살짝살짝 돌려놓아 여왕벌이 교미하고 들어올때 자기벌통을 식별하기 좋게한다.

  또한 일렬로 배치할때는 2군씩 모아놓고 1군은 사이를 띠우고(벌통을 놓지않고) 식으로 배치해도

  교미성적이 좋다. 

 

6. 벌집짓기

   잡화와 밤꽃개화사이에 모자라는 벌집을 짓는다.

   벌집지을 봉군을 미리선정하여 봉충판을 빼내 약군에 보충하고

   소초광을 삽입하고 먹이를 듬쁙주어 집중적으로 지어내는 방법과

   매일 봉군마다 1매씩 소초광을 삽입하고 약간의 먹이를 주면서 벌집을 짓는 방법이 있다.

   특히 자연분봉군을 수용한 벌통에서는 먹이를 충분히 공급하면서 여러차레에

   걸쳐서 많은 벌집을 지을수 있다.

 

4. 병충해 방제

   응애약을 3~4월에 마지막으로 처리한 봉장에서는 응애밀도가 많이 증가해 있다.

   잡화꿀채밀이 끝나고 밤꽃개화를 기다리고 있는 지역에서는 응애약을 한차레 처리하여

   응애의 밀도을 떨어뜨려 밤꽃이 끝나고나서 흔히 발생하는 응애피해를 미연에 방지한다.

 

안경강의 꿀벌은 전남 영광에 있습니다.

지역과 사람에 따라 벌기르는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안경강의 꿀벌 카페는 꿀벌의 편지(kswbee)입니다.

출처 : 꿀벌사랑동호회
글쓴이 : 안경 강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