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양봉,토봉, 꿀벌

토종벌살리기 토종벌 증식 및 질병대처 2차 - 옛날자료임~2010 ,11 년도고급과정 교육이(김대립농장에서)

dogamk 2019. 10. 8. 07:06

 

 

 

 

 

 

                      농림수산식품부와 농업인재개발원 주최

               한국신지식농업인중앙회 주관

               토종벌 살리기 프로젝트

               토종벌 증식 및 질병대처 2차 - 고급과정 교육이

               청원의"청토청꿀" 김대립 토종벌 농장에서

               전국에서(해남,의성,문경,장수,옥천,대전,청주,고양,포천,서울,남양주,가평 등)

               오신 교육생이

               현장 실습 위주로 1박2일간 있었다. 

 

 

                                 깊은 산속 봉장에도 가을이 성큼 찾아왔어요.

                      가을의 전령사 코스모스꽃과

 

 

                               청원군 깊은 산속에 있는 "청토청꿀" 봉장 메밀꽃이 소금을 뿌려 놓은 듯 펼쳐저

                     파란 가을 하늘, 하얀 구름, 녹색의 숲과 어우러저 가을 속으로 흡뻑 빠저듭니다.

 

 

                                 밀원으로 조성해 놓은

                      청원 산속 골짜기에 메밀꽃이 흐드러지게 피어있다.

                      이 곳의 토봉이들은 얼마나 행복 할까?

 

 

 

 

                               신형 개량 벌통으로 처음 연구하는 중이다.

                     양봉과 같이 질병대처가 빠를 것 같다.

 

 

 

 

 

 4각재래통에서 충판 봉판을 떼어(잘라서)

개량벌통 벌집틀(소비)에 붙여서 벌과함께 개량벌동으로 옮기는 작업

처음으로 개량통이 출시되어 김대립씨가 시도하여 본인도 열심히 교육참여 배우고 있는중~

 

 

                     정부 관계부처(농촌진흥청, 농림수산식품부)에서도

                     토종벌 멸종 위기에 다급해진 모양이다.

                     담당자들이 토종벌의 실태를 알아보려고 현장을 찾아온 것이다.

                     전국의 토종벌 95% 이상이 폐사되었다니

                     오늘 교육을 받고 있는 교육생 20여명중 3 ~4명만이 그나마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교육생들 모두 토종벌을 살리려고 열심히 강의 듣는중~

 

                               청주방송국에서 멸종 위기의 토종벌을 취재하러 왔다.

                     경북 의성 산꼴짜기로 귀농하여 토종벌 사육하다 전멸시키신 귀농인과 인터뷰

 

 

                              취재는 계속되고

 

 

                              여왕벌도 찾아본다.

 

 이정주(포사)님 얼굴이 보이네~~ㅎㅎ 내사진은 안 보이고

 

                       옥천에서 금년에 70군을 폐사시키신 토봉인의 경험담이 이어진다.

                       낭충봉아부패병에 감염되면 속수 무책이란다.(옥천이면 오승환씨인가?)

 

 

                                장수에서 50년 동안 토종벌 사육을 하신 어르신(가운데)께서

                     왕벌 퇴치 기구 만드는 방법을 알려 주신다..

                     이 어르신도 50년 동안 기르던 토종벌을 지난해 낭충봉아부패병으로

                     폐사되었는데 이런 현상은 처음이라네요.

 

 10년전 내얼굴의 사진도~~ㅎㅎ 장수의 모용환씨(76세) 그리고이정주님 (그때가 그래도 젊어보이네요)

 

                          낮에 이어 저녘 식사 후에도

                  "토종벌 지킴이"들의 토론은 가을 밤이 깊어 가는 줄도 모른다.

 

저녁시간에는 이렇게 토종벌에 대하여 자유토론중

 

 

 

위사진 2019년 4월5월 3차분봉후 원통자리의 벌을 7월3일 인공분봉시키기위하여

 

 

2019년 도감마을신사의 봉장임

 

2019년 6월의 도감마을신사의 토종벌봉장 일부사진임

 

 

 

 

 

 

 

두견새우는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