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는 더워서 긴팔을 옷을 입지 못했는데 갑자기 온도가 떨어져
반팔옷은 이제 춥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영광 불갑산 상사화 축제에
못오신분들은 이번주말(9.28~9.29)에 오셔도 상사화 꽃을 구경하실 수 있읍니다.
1. 본격적인 겨울먹이주기
중북부지방에서는 벌써 겨울먹이 주기가 끝나고 월동준비를 하고 있으며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기도 합니다마는 이곳 남부지방에서는 10.1일부터
10월15일까지가 겨울먹이주기 적기입니다.
단상(홑통)으로 월동할 봉군은 10월1일부터 10월 15일까지 격일제로
6매월동봉군 기준으로 7~8회를 물20리터/설탕30kg를 희석하여 공급합니다.
자동사양기를 사용할때는 너무진하면 설탕물이 공급이 잘되지 않음으로
물20리터/설탕15kg를 기준으로 희석하여 공급합니다.
계상(덧통)으로 월동하는 봉군은 지금쯤 2층에는 6~7매정도의 먹이장이 만들어지고
1층에는 육아권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먹이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봉군은 10월15일까지 매일 먹이를 공급합니다.
2. 세력고르기
내검을 해서 벌이 붙지않은 벌집은 사양기 밖으로 배치합니다.
그리고 세력이 5매이하인 봉군은 서로 합봉하여 강군을 만들거나
1상2군 편성을 합니다.
1상2군 편성방법은 벌통의 가운데를 가름판으로 막고 소문은 따로 내줍니다.
3. 소문좁히기
여름내내 소문을 개방하여 기르던 봉군도 봉군의 세력에 따라 소문(벌문)을 줄여줍니다.
6매월동군은 벌문의 3/2를 줄이고 3/1만 열어놓고 계상(덧통)관리군은 소문의 2/1만 열어주고 2/1은 막아줍니다.
소문 조절을 하지않고 그대로 관리하면 도봉(도둑벌)의 피해를 막을수가 없습니다.
4. 병충해 예방
여름에 응애약을 처리하고 지금까지 응애약을 처리하지않은 봉군은 응애피해가 나오는 시기입니다.
벌들이 날개가 말리거나 날개가 없이 기어나오는 봉군은 응애피해를 당한 봉군입니다.
월동전에 반드시 응애의 철저한 예방이 있어야 하겠습니다.
노제마병 예방을 하지않은 봉군도 지금 이시기에 피해가 발생합니다.
노제마병 발생증상은 날개가 정상인데 기어나오면서 팔작팔짝 뛰는 증상을 보입니다.
월동사양중에 반드시 1번은 노제마병 예방을 실시해야 합니다.
내년 이른봄에 부저병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월동사양액에 옥시마이신을 희석하여
사양합니다.
5. 숫벌은 쫒겨납니다.
월동먹이를 저장하는 시기에는 숫벌은 쓸모없는 존재가 되어 벌통밖으로 쫒겨나
벌통앞에서 불쌍하게 죽어갑니다.
그동안 기르고 있던 숫벌의 애벌레도 파괴하여 벌통밖으로 물어냅니다.
특히 올해는 늦더위가 심하다가 갑자기 온도가 떨어지자 벌통마다 숫벌애벌레를
물어내는 증상이 많습니다.
6. 말벌피해 방지
올해는 말벌 그물을 사이즈가 큰것(닭장망)으로 사용했더니 평소에는 효과가 있었는데
비오는날 쥐잡이용 진득이가 무용지물이 되어 계상2통이 피해를 입었읍니다.
그래도 이정도면 벌들에게 스트레스를 주지않고 성공했다고 자평해봅니다.
말벌피해 방지의 기본은
먼저 그물을 설치하고 쥐잡이용 끈끈이에 말벌을 생포 하는 방법이며
다음에는 양봉원에서 판매하는 말벌통발(말법트렙)을 설치하고
효소액을 이용한 유인책을 사용하여 잡아내는 방법, 말벌을 생포하여
농약을 묻혀 날려 보내는 방법, 말법집을 발견하여 농약을 치거나 불을 지르는
방법등 모든방법을 동원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우리 양봉,토봉, 꿀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양주기술쎈타에서,,,양봉연구회 모임,,,,계상벌통내검시 편리하게 벌통을 힘안들이고 내검할수있는 기술개발,,,, (0) | 2013.09.27 |
---|---|
[스크랩] 꽃범의꼬리 있어 더 아름다운 늦여름 (0) | 2013.09.27 |
[스크랩] 먹이장과 월동을 준비를 하는 과정입니다 (0) | 2013.09.24 |
[스크랩] 아,,,나의대(너무나큰)실수,,,,,지난번 불쌍하고 가엾어서 죽어가는벌 봉판3장과 잔여벌넣어준후,,,,오늘여왕과 희망이,,,, (0) | 2013.09.21 |
아,,나의 대(너무나큰)실수,,,,, (0) | 201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