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양봉,토봉, 꿀벌

[스크랩] 안경강의 금주의 꿀벌관리(3.17~3.24)

dogamk 2013. 3. 15. 08:15

이번주도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추웠다 따뜻했다를 반복하여

종잡을 수 없는 날씨가 계속됩니다.

봄날씨는 정말 알수 가 없습니다.

2~3일 따뜻하다고 월동포장을 해체하면

큰 낭패를 보는 시기입니다.

이번주에 피어나는 꽃은

매화꽃,산수유,생강나무가 피어나고

진달래꽃은 다음주부터 피어날것으로

예상됩니다.

예년 같으면 덧통 월동한 봉군은 1~2층 벌이 가득차서

3층 올릴것을 걱정해야 되는데 때늦은 봄철 한파로

아직도 6~7매~9매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홑통 4~5매로 월동한것은 더러는 3매~4매로 발전한것도

있지만 아직도 2매봉충판 세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1. 자동사양기 부착과 산란촉진 작업

이번주부터 4월20일까지 산란하는 일벌은 대구지방기준(5월1일)

아카시아부터 6월초순의 잡화꿀 채밀까지 주력군으로 활동하게 됩니다.

일벌은 산란으로부터 21일째에 출방하고 출방한날로부터 20일간은

내역에 종사하다가 이후 15일간 외역에 종사한다고 합니다.

이번주간부터는 여왕벌이 알을 하나라도 더 낳을수 있도록 조건을 맞추어

주어야 대유밀기인 아카시아철에 외역봉을 많이 모을수 있습니다.

그런의미에서 자동사양기를 부착하여 매일 매일 소량씩 먹이를 공급해주면

밖에서 먹이가 들어오므로 여왕벌은 유밀기로 착각하고 산란을 확대지향적으로

나가게 됩니다.

2. 화분떡공급

화분떡 1차공급이 2월10일, 2차공급이 3월11일 이었습니다.

다음주간에 3차 화분떡 공급을 하면 봄철 화분떡공급은

마무리 되지않을까 생각이 듧니다.

화분떡은 진달래꽃이 피면 소모량이 현저히 줄어드나

산란촉진을 위하여 진달래꽃이 필때는 화분떡을 계속

공급하고 벚꽃피면 화분떡 공급을 중단해도 됩니다.

진달래꽃은 예년에는 3월22일부터 피어나 이번주간에는

온산이 붉게 물들었는데 올해는 1주일정도 늦어질것 같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3월12일부터 매화꽃 축제를 하는 경남하동과

3.23일 산수유 축제를 하는 전남구례는 봄벌키우기가 좋은지역 입니다.

3. 증 소

홑통4~5매로 비교적 약군으로 월동한벌은 2월3일 2매로 축소해서 관리했는데

3월11일 2차내검시에 2매봉충판이 확보된상태였으며 일부봉군은 3매로 증소했으며

전체적으로 춘감현상없이 세력이 탄력을 받은 느낌입니다.

6매로 월동하여 2매1가리로 축소했던 봉군은 3월11일 2차내검시에

1매씩 증소하여 3매로 발전했습니다.

이번주간~다음주간에 1매씩 증소가 들어가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증소 싯점은 막음판으로 사용한 사양기에 벌이 들어가서 헛집을

짓기 시작하고 사양기뒤의 먹이장에 1.5매정도 벌이 넘어가 있으면

증소해도 됩니다.

4. 전기가온결과

4~5매로 비교적 약하게 월동이 들어갔던 봉군이었는데

무가온 봉군은 평균적으로 3/2매봉충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음주간에 1매씩 증소가 들어갈것을 기대하고 있고

전기가온한 봉군은 이번주간에 3매로 증소가 될 예정입니다.

전기가온시작 40여일만에 1매정도 차이가 난다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5. 물공급

물공급은 자동사양기를 부착하여 매일매일 소량의 먹이를 공급하면

큰문제가 없겠으나 자동사양기를 부착하지 않은 봉장은 소문사양기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며 소문사양기도 설치하지 않은 봉장에서는 봉장의

가장자리에 급수장을 마련해주어야 산란하고 육아하는데 소요되는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되며 급수봉이들이 차가운 시냇물에서 물을 길러오다가

얼어죽는 일을 방지하고 오염된물을 길러다가 육아중인 벌에게 먹여

질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보 온

이번주간도 보은의 필요성은 매우 증요하다

귀찮더라도 석양에는 보온덮게를 내려 덮어주고

아침에는 열어주는 수고를 하면 충분히 보상을 받습니다.

특히 올해같이 밤기온이 계속해서 영하로 떨어지는 날이

많으면 보온덮게 내려덮기는 그 효과를 톡톡히 볼수 있습니다.

7. 병충해 방제

가. 응애방제

봄철의 응애방제는 3월말부터 4월중순에 걸쳐 1주일 간격으로

연속4회를 실시해야 아카시아~밤꽃 개화때까지 응애피해를 예방

할 수 있다.

나. 노제마병 예방

노제마병은 봄철에 1~2회, 가을철에 1~2회 반드시 처리해야 되는

병으로 화분떡에 노제마병약을 첨가하지 않았다면 후미딜-B, 노노스

를 사용설명서를 정확히 읽어보고 적량을 사양액에 희석하여 사용한다.

다. 부저벙 방제

부저병도 치료보다는 예방위주로 처리해야 되는데 장려사양시에

옥시마이신을 소량씩 희석하여 가끔씩 처리해주는것이 좋다.

친환경 방제로는 프로폴리스를 사용하는 봉우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번주간도 아카시아꿀 대박을 위하여 열심히 달려갑시다.

안경강의 꿀벌은 전남영광에 있습니다.

사람과 지역에 따라서 꿀벌기르는 방법이 다를수 있습니다.

출처 : 꿀벌사랑동호회
글쓴이 : 안경 강 원글보기
메모 :